약국/약국실습학생들의 글

단순히 체중이 높다고 비만일까요!!!?!?!?

큰마음약국 2021. 4. 9. 12:33

원광대학교 약학과

실습생 유재성

 

 

안녕하세요. 이번 주부터 5주동안 약국에서 실습을

시작하게 된 원광대학교 약학과 실습생 유재성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5주동안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 ͡° ͜ʖ ͡°˵)

 

 

 

제가 다루게 될 주제거리는 비만에 관한 소재가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저는 그 중에서도 비만과 호르몬에 관한 주제에 관해서 글을 쓸 예정입니다.

 

 

 

호..호르몬..비.. 비만...???

말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시죠.... ㅠㅠ

사실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저도 그렇게 머리가 좋은 편은 아니라서....

저도 글을 작성하면서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오네요 ㅠㅠㅠㅠㅠ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마세요!!!

제가 앞으로 올릴 글 들은 너무 딱딱하고 어려운 내용의 글보다는

별다른 배경지식 없이도 쉽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 위주로

업로드 할 계획이니깐

정말 가벼운 마음으로 한줄 한줄 읽어도 이해갈 수 있도록

쉬우면서 흥미로운 내용 위주로 쓰도록 하겠습니다!!

 

 

 

 

1.비만이란 무엇일까요??

 

 

 

출처:  https://www.ksmbs.or.kr/content/general/01.php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

 

 

다들 살면서 비만이란 얘기를 많이 들어보셨을꺼에요.

마른 비만, 소아비만, 상체비만, 하체비만, 복부비만 등등 수많은 비만이 있는데

그럼 도대체 비만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요!?!?!?

 

 

비만이란 의학적으로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상태를 말합니다.

즉 많은 양의 칼로리를 섭취했지만 소비하지 않아

체내에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2. 단순히 체중이 높으면 비만 일까요?

 

 

 

 

 

 

 

단순하게 체중이 많이 나간다고 비만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비만이 아니어도 근육이 많은 사람은 체중이 많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치가 필요합니다.

 

 

 

3.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출처: http://general.kosso.or.kr/html/user/core/view/reaction/main/kosso/inc/data/type02.pdf  대한비만학회

 

 

출처:  https://blog.naver.com/sjhoct/222009218627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가장 흔하게 쓰이는 방법에는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법이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는 키와 체중을 이용하여

비만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BMI=kg/m^2)입니다.

 

 

서양인과 아시아인에서의 비만의 기준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시아인에서는 고혈압과 당뇨병과 같은 대사증후군 합병증 위험도가

서양인에 비해 낮은 수치에서부터 시작한다는 보고가 많기 때문에

서양인에 비해 비만을 정의하는 체질량 지수가 낮습니다.

 

 

위의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성인비만의 기준은 체질량지수 25kg/m^2이상으로하며

질량지수 25.0~29.9kg/m^2를 1단계 비만

30.0~34.9kg/m^2를 2단계 비만

35.0 kg/m^2를 3단계 비만(고도 비만)으로 구분합니다.

 

허리둘레로 측정한 복부 비만의 기준은

성인 남자에서는 90cm이상, 여자에서는 85cm 이상으로 합니다.

 

 

오늘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그럼 다음시간에 뵙겠습니다!!!!!

 

실습생 블로그 주소: blog.naver.com/daegar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