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약국실습학생들의 글

우리아이 감기, 웬 유산균 처방이죠?

큰마음약국 2019. 8. 8. 12:29

 

작성자/원광대학교 약학과 

 

실습생 김보경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다뤄볼 주제는 바로 소아과에서 처방되는 유산균입니다.

아이가 감기가 걸려 병원에 내원했는데, 처방전에 유산균이 포함되어나온적 있으시죠?

게다가 같은 유산균인데 옆집아이보다 우리아이가 더 비싸게 나와 억울하셨던 적도 있으실거에요~

왜 그런걸까요??

같이 한 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1. 유산균은 왜 같이 처방된건가요?

유산균은 항상 같이 나오는건 아니고 항생제가 처방되었을때 처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AAD [antibiotics-associated diarrhea], 항생제 관련 설사증

AAD란 항생제 관련 설사증으로, 항생제의 투여로 장내세균총이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설사를 말합니다.

사람의 뱃속에는 100종류 이상의 장내 세균이 존재하며 100조 개 이상의 몸에 이로운 바이러스와 해로운 균들이 있어요. 또한 좋은 균이라고도 나쁜 균이라고도 말할 수 없는 종류의 균들도 끊임없이 생멸하며 장내 균형을 이루고 있는데요.

이때 감기 등의 이유로 몸에 해로운 세균을 퇴치하기 위해 항생제를 복용하면,

항생제가 원하는 세균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장내에 존재하던 이로운 세균까지 제거해버리는 경우가 있어요. 그래서 장내 세균의 균형이 무너져 버리게 되고, 이로 인해 설사가 나게돼죠.

이때! 세균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유산균이 처방되는 것이에요.

보통 항생제 관련 설사는 증상이 경미하고 항생제를 중단하면 호전이 되지만,

아이의 설사 자체를 멈추는데 도움은 물론, 그로인해 아이의 컨디션이 나빠지는 것을 막고 면역력 증가로 감기가 낫는데도 도움을 주기위해 주로 추가됩니다.

* 정장제와 지사제의 차이점에 대해 잠깐 집고 넘어가도록해요!

가끔 약국을 찾으시는 분들 중에 보면 정장제와 지사제를 같은 약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 둘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지사제는 "설사를 멎게 하는약"이라는 뜻이며,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 소화장애, 장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설사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을 통칭합니다. 지사제에는 장운동 억제제, 항균제, 수렴제, 흡착제, 정장제 등이 있어요.

정장제인체에 유익한 균을 공급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해서 설사나 변비 등의 질환을 완화 시키는 약이에요.

장내 세균 자체는 소화 흡수를 보조하는 호르몬을 생산하거나 비타민을 합성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등 여러 가지 작용을 하는데요. 소아과에서 정장제를 처방하는 목적은 장내 상태를 개선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변비 때 장내에 쌓인 변의 배변활동을 쉽게 하거나 설사가 있을 시 묽은 변을 나오기 어렵게 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설사를 개선하는 목적 뿐만 아니라 변비를 개선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되는 약이에요.

2. 같은 유산균인데 왜 가격이 다른건가요?

간단히 말해 급여와 비급여의 차이!

항생제로인한 설사(AAD) 치료를 위해 유산균 처방될때에는 만 6세를 기준으로

만 6세 미만 : 보험 가능, 급여로 처방됨

만 6세 이상 : 비급여로 처방됨

그래서 만 6세 이상인 경우 같은 유산균이라도 본인 부담의 비중이 커지게 되어 비싸게 느껴지시는 거에요.

단, 만 6세 미만이라도 모든 유산균에대해 보험처리가 되는건 아닌데요.

가능한 균은

사카로마이세스보울라디균, 바실루스리케니포르미스균 두 가지입니다.

이 균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제품과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로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원본 글 보러가기

https://blog.naver.com/kim71593/221609651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