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약국실습학생들의 글

아기와 철분

큰마음약국 2021. 5. 21. 11:14

 

안녕하세요. 실습생 장세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기의 철분 기준, 부족하게되는 원인 및 철분이 부족했을때 어떠한 증상이 있을 수 있을지 등 아기와 철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모유수유와 철분

출처:  https://pixabay.com/ko/

 

먼저 모유수유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아이에게 매우 좋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완전식품'이라는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나요?

 

모유는 높은 농도의 항 세균 및 항 바이러스 항체가 있으며,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산, 각종 호르몬 등 면역물질이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어떤 분유라도 모유를 완벽히 재현해 낼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같이 우리에게 '완전식품'처럼 보이는 이 모유도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모유수유만 장기간하게되면 특정 영양소가 결핍될 수 도 있습니다.

 

보통 모유는 우유보다 철분의 함량이 많고, 흡수율도 우유에 비해서 큽니다. 우유의 철분 흡수량은 10%인데 모유의 철분 흡수량은 50%나 됩니다. 이렇게만 보면 모유수유를 했을때 철분 흡수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왜 철분이 부족한지 이해가 잘 안가시죠? 물론 모유의 철분 흡수량은 높지만 모유에 있는 철분 절대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아이가 자랄수록 철분 요구량은 늘어나는데 모유의 철분 절대량이 감소하여 철분 흡수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의 철분이 부족하게 됩니다.

 

건강한 신생아는 1년에 250mg의 철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태어났을때 혈색소와 저장철의 형태로 생후 4개월간의 성장에 충분한 철분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고갈되게 됩니다.

 

 

2. 이유식과 철분

출처:  https://pixabay.com/ko/

 

보통 생후 6개월 이후부터 이유식을 시작하는데 아이에따라 이유식을 먹이는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만약 아이가 이유식을 적절하게 섭취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태어났을때 가지고 있던 철분이 소진되고, 음식으로 철분이 흡수되지 못해 철분결핍을 겪을 수 있게됩니다.

 

그래서 아이의 이유식을 만들때 철분을 신경써서 만들어주면 좋고, 특히 육류에 들어있는 철분은 식물성 재료에 있는 철분보다 흡수율이 좋으므로 소고기를 넣은 이유식을 먹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3. 아이의 철분부족 증상

 

아기가 철분이 부족하게되면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예를들면

- 밥을 잘 안 먹고, 기운 없이 축 처지기도 합니다

- 안색이 창백합니다

- 잘 보채고 조금만 움직여도 쉽게 지칩니다

- 흙, 종이, 얼음 등을 먹는 이식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빈혈이 심해지면 병에 쉽게 걸리고, 성장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뇌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와같은 증상이 보인다고 모두 철 결핍은 아니니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아기의 철 결핍을 확인하기위해서는 보통 소아과에서 손가락 끝의 혈액을 채취해 빈혈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정상 헤모글로빈(Hb) 수치는 10.5-14g/dL, 적혈구 수는 33-42% 사이가 정상입니다.

 

영유아기는 특히 뇌가 발달하는 시기인데, 철분은 뇌 신경 성장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 시기에 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게 되면 아이의 인지능력, 운동능력, 사회성이나 정서적인 영역 전반에 걸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후에 철분을 보충한다해도 뇌 발달이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아이의 성장시 철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적절히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철분이 부족하면 아이의 수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있는데 도파민이 부족하게되면 다리가 불편한 느낌이 들게하고 다리를 움직이고 싶어 하는 충동을 들게 합니다. 철분의 경우 이러한 도파민이 만들어지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므로 철분이 부족하게되면 도파민이 부족하게되고, 잠을 자는 중에 다리가 불편한 감각을 느끼게되어 잠을 깊게 들지 못하고 자꾸 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출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653605&memberNo=38005022

https://brunch.co.kr/@khy880129/1

http://ansan.kumc.or.kr/dept/special/deptSecialInfoView.do?BNO=180&cPage=&DP_CODE=ASNU&MENU_ID=004015

 

실습생 블로그: https://blog.naver.com/jjang_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