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학교 약학과 김동인
봄철에 꽃이 피고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면 뉴스와 기사에서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생하는 사람에 대한 소식을 흔히 접할 수 있죠?
또, 계란, 우유, 땅콩, 갑각류, 복숭아 등의 음식 섭취나 약물 투여, 곤충에 쏘임 등에 의한 알레르기로 고통 받는 사례 또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어요.
이런 꽃가루, 음식물, 약물 등의 이물질이 피부 접촉, 흡입, 섭취 등을 통해 유입되면 그 이물질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사람의 면역체계에서 일어나는 과민 반응을 '알레르기' 라고 합니다.
우리는 면역체계는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외부 물질로부터 몸을 방어해요. 하지만 만약 알레르기 증상을 가지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물질을 유해물질(항원)으로 잘못 인식하여, 그 물질에 대응할 항체를 생산하고 이 항체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히스타민 등의 화학물질을 방출하도록 작동해요.
알레르기 반응은 코, 폐, 후두, 부비강, 귀, 식도 내벽 및 피부 등 부위에서 가려운 발진, 두드러기, 붉은 코, 충혈, 부종, 가쁜 호흡 등의 임상증상을 보이고 증상의 정도에 따라 알레르기 비염, 피부염, 천식, 또는 아나필락시스 등으로 유발되기도 해요.
새우를 먹고 입술이 붓고 눈이 부어오르며 두드러기가 생기고 숨쉬기가 어려워 응급실을 찾아 에피네프린 주사를 맞고 증상이 호전되었다는 사례가 보고된 적도 있고 학교 급식으로 나온 우유가 들어간 카레를 먹고 급성 알레르기 쇼크가 일어나 뇌사한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다고 해요. 흔하진 않지만, 이렇게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알레르기 반응을 아나필락시스라고 하는데요.
아나필락시스는 원인 물질에 노출된 후 급격하게 진행하는 전신적인 중증 알레르기 질환으로 단시간내에 여러 장기의 급성 증상을 유발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해요.
이러한 알러지의 증상과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하는 물질은 '히스타민'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내에 히스타민이 많이 증가할 경우 아나필락시스 위험이 높아지는데, 체내 히스타민이 높아진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히스타민 증후군 진단>
다음의 목록을 통해 스스로 히스타민 증후군을 진단해 볼 수 있어요.
같이 한 번 확인해 볼까요?
몇가지 증상이 본인에게 해당되는지 체크해 보세요
1. 어지러움을 자주 느낀다.
2. 월 2회이상 두통이 있다.
3. 잠을 설친다.
4. 식곤증이 있다.
5. 눈이 침침하다.
6. 속이 종종 메슥거리거나 소화가 안된다.
7. 설사나 변비가 자주 있다.
8. 배에 가스가 많이 찬다.
9. 혈압의 변화가 심하다.
10. 다리가 붓거나 저리다.
11. 멍이 쉽게 들거나 파란 정맥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
12. 약물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다.
13. 얼굴이 달아오른다.
14. 간혹 오한증이 있다.
15.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감기가 잘 낫지 않는다.
16. 마른 기침을 자주 하거나 기온변화나 자극이 있으면 기침이 심하다.
17. 항상 코가 막히거나 콧물, 재채기가 자주 있다.
18. 소변을 자주 본다.
19. 월경통이 심하다.
위 항목 중 5가지 이상 해당 시 병원에 내원하여 진단과 치료가 권장돼요.
병원에서 히스타민 분비를 자극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다음의 검사들이 있어요.
1) 알레르기 검사
- 혈액 내 총 IgE 검사를 하고 항체가 정상보다 많다면(성인의 경우 100IU/mL) 알레르기가 있다고 진단. 다음 단계로 알레르기의 원인물질 찾기 검사로 피부단자검사, RAST, MAST 검사 등을 시행한다.
2) 피부단자검사(Skin prick test, SPT)
- 피부로 투여된 알레르겐이 비만세포에 부착된 IgE와 결합하면 측정이 가능한 팽진과 발적 반응을 나타내는 원리로 기도, 피부, 위장관의 IgE 매개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된다. 검사가 간편하고 30분 이내의 짧은 검사기간, 민감도가 높고 검사 비용이 저렴 등의 장점 때문에 많이 시행하고 있다.
피부단자검사는 팔이나 등 부위에 항원액을 떨어뜨리고 바늘로 살짝 찌른 다음 15-20분 뒤에 확인하면 된다.
3) RAST 검사(Radioallegosorbent test)
- 특정 IgE항체를 검출하고 피검자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물질을 결정하는 검사.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대해 특정 IgE를 검출하여 반응을 보이는 물질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를들어 꽃가루에 대해 IgE 농도가 높다면 꽃가루 단백질에 알레르기가 있다는 의미.
4) MAST 검사(Multiple allergen stimulation test)
- 다양한 항원에 대한 알레르기 항체(IgE)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62가지 항목을 한꺼번에 검사할 수 있음. RAST 및 피부시험과 비교하여 예민도가 낮지만, 여러 항원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쉬운 장점이 있다.
위 검사들을 통해 내 몸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 또는 음식을 파악하여 원인 물질을 피하는 것이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겠죠?
'약국 > 약국실습학생들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스타민이 건강을 좌우한다! 히스타민에 대해서 같이 알아봐요! (0) | 2021.04.02 |
---|---|
실습생 동영상 - 히스타민과 장건강 (0) | 2021.04.02 |
히스타민과 생리통 (0) | 2021.03.09 |
히스타민과 어류 중독 (0) | 2021.03.04 |
히스타민에 대해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