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학교 실습생
이아림
임신기간
임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임부의 마지막 생리시작일을 기준으로 '임신주수'를 계산한다.
실제로는 여성이 마지막 생리를 마친 후 약 1~2주 후에 난자가 배란되어 수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임신기간은 크게 3등분하여 임신 1기(초기), 2기(중기), 3기(말기)로 나눈다.
임신 1기(초기)는 마지막 생리시작일을 기점으로 14주까지
임신 2기(중기)는 15주부터 28주까지
임신 3기(말기)는 29주부터 출산까지를 일컫는다.
태아의 발달 과정에 따라
'착상 전 시기(pre-implantation period)', '배아기(embryonic period)', '태아기(fetal period)'로 표현하기도 한다.
출처: KIMS ONLINE
- 착상 전 시기 : 수정 후 1~2주(임신 3~4주)로서, 수정란이 자궁 내에 착상하기까지의 기간.
세포 손상이 발생했을 때 태아가 사망하거나 혹은 완전히 회복하는 'all or none'시기
장기 형성을 위한 분화과정이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에
약물에 의한 기형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 배아기: 수정 후 2~8주(임신 4~10주)에 해당. 배아기는 주요 기관이 가장 활발하게 발생되고 형성되는 '기관형성기'로서, 각 기관에 따라 민감한 시기가 다름. 세포분열, 세포이동, 세포 간 상호작용, 형태형성(morphogenesis) 조직 재형성(remodeling)이 빠르게 진행됨.
약물의 영향을 많이 받고 기형에 가장 민감한 시기이기 때문에 약물투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태아기: 수정 후 8주(임신 10주) 이후로서, 기관형성기의 끝은 태아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태아기 동안 각 기관들은 필요한 기능을 획득하고 미세 기관의 형태형성 및 생화학적 성숙을 이룬다.
태아기 동안 기형발생 물질에 노출된 경우 성장과 기능의 성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2주(마지막 생리 시작일기준 3-4주): 정상진행 or 자연유산 (All or none)
5- 10주: 기관 형성(임계기, 배아기)
11- 16주: 기관의 기능형성기
8-15주 : 방사선 민감한 시기
약물의 위험도- 미국 FDA
abcdx 로 구분
x: 항암제, isotretinoin(여드름약)
d: 임상시험결과 태아의부정적인 작용증명 약물사용의 유익성이 위험성보다 크다
간질약(최기형성) 간질자체때문에 기형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 phenobarbital, carbamazepine
b: 동물실험결과 태아에 위험성 없음 그러나 임상시험은 시행되지 않음.
- 타이레놀, 감기에 쓰는 항생제등이 해당
c: 동물실험에서 태아에 부정적 영향입증, 그러나 임상시험은 시행되지 않음.
출처: KIMS ONLINE
기형이 생기려면 multi-factorial 즉 여러가지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한가지 약으로 인해서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임신주수 보고 5주미만이고 축적(x등급) 되는 약이 아니라면 괜찮다.
5주이상이면 a-x 중 어디 해당약인지 알아보고 어떤 영향을 줄지 알아봅니다.
보통 약들이 c d 에 많이 해당된다.
c에 해당되는 약 하나 먹었다고 해서 기형되는게 아니고 여러인자가 합쳐져서 기형이 되므로 약 = 기형 이 아니라고 합니다!
X등급 약들
1. atorvastatin
-항고지혈증제. HMG-CoA Reductase inhibitor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율속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인 3-hydroxyl-3methylglutaryl-coenzyme A(HMG-COA)를 경갱적으로 저해함
(HMG-CoA로부터 mevalonic acid의 합성을 억제)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 흡수를 증가 및 LDL의 이화를 위해 세포 표면의 간 LDL수용체의 수를 증가함.
-임부 또는 가임부 금기
2. simvastatin
-HMG-CoA Reductase inhibitor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에서 HMG-CoA의 mevalonate로의 전환을 저해하므로써
콜레스테롤의 생성 감소, 제거율 증가
-금기: 활동성 간질환 또는 원인 불명의 지속적 간효소 수치 상승, simvastatin 과민증, 임신 또는 수유시
3. warfarin
-항응고제, 쿠마린계
-비타민K 의존성 혈액응고인자(factor 2,7,9,10), protein C 및 그의 cofactor 단백질들의 생합성을 억제
-이미 생성된 혈전에 대한 효과는 없으나 형성된 혈괴의 확대를 막고 이차적인 혈전, 색전 합병증을 예방함
-태반통과
출처: KIMS ONLINE
4. methotrexate
-대사길항제, 항종양제
-엽산과 구조 유사체로 dihydrofolate reductase에 길항하여 DNA 합성 억제
dihydrofolate reductase는 엽산을 tetrahydrofolic acid로 환원시킴
tetrahydrofolate는 핵산과 thymidylate의 합성에 사용됨.
-Dihydrofolate reductase 저해시 궁극적으로 DNA합성, 복구, 세포 복제를 저해하며
종양, 골수, 태아 세포, 볼점막, 장점막, 방광세포와 같이 세포 분열이 빠르게 일어나는 조직은 일반적으로
methotrexate의 효과에 대해 정상 조직보다 더 민감함
-적응증: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유방암, 백혈병의 뇌척수막 이상, 임신성영양모아세포성종양, 표피모양 두경부암, 연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폐암 단독 혹은 다른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 진행성 균상식육종, 진행성 비호지킨성 림프종, 골육종에서 보조요법, 중증 건선, 중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태반 통과
-금기
1. 수유 중인 경우
2. Methotrexate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3. 남성의 경우 치료 기간 및 치료 후 최소 3개월 간 성관계를 갖지 말아야 함.
4. 선재성 혈액질환(골수형성저하증,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심각한 빈혈 등), 현성 또는 실험실적 증거가 있는 면역결핍 증후군, 알코올중독, 알코올성 간질환 또는 기타 만성 간질환이 있는 건선/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
5. 임신 중인 건선/류마티스성 관절염 여성환자의 경우 최기형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료 후 적어도 1회의
배란주기 동안 임신을 피해야 함.
-임부의 경우 태아 사망 또는 최기형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잠재적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할 때에만 사용.
5. finasteride
-5알파 환원 효소(제2형 동질 효소로서 전립선, 간, 피부에서 testosterone을 DHT(dihydrotestosterone)로 대사시키는 효소)의 상경적 저해제
-안드로젠 수용체에 친화력이 없음.
-fda승인 적응증: 양성 전립선 비대증(5mg 1일 1회 단독 또는 doxazosin과 함께), 남성형 탈모증(1mg 1일 1회)
-fda 미승인 적응증: 양성 전립선 비대증(혈뇨), 전립선암의 예방, (남성형)다모증
-금기 1. 약물 치료에 과민증이 있는 경우 2. 임신 중이거나 임신이 의심되는 경우 3. 여성/소아
- 피부를 통한 흡수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가임 여성은 finasteride정제를 취급하지 말 것
임신한 여성이나 임신이 예상되는 여성은 흡수의 가능성과 남자 태아에 끼칠 수 있는 위험성 때문에 부서지거나
깨어진 정제를 취급하지 말 것.
https://blog.naver.com/dldkfla1234/222050197138
5. 임신 준비 3탄 먹지 말아야 할 약!
임신기간임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임부의 마지막 생리시작일을 기준으로 '임신주수'를 계산한다. ...
blog.naver.com
'약국 > 약국실습학생들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임신준비중 감기약은 괜찮은 걸까 ??? (0) | 2020.08.19 |
---|---|
6. FDA 임부 카테고리 폐지와 PLLR (Pregnancy and Lactation Labeling Rule) (0) | 2020.08.19 |
4. 임신 준비중인데 이 약은 먹어도 괜찮은 걸까? 여드름약 (0) | 2020.08.19 |
3. 임신 준비중인데 이 약은 먹어도 괜찮은 걸까? 류마티스관절염 (0) | 2020.08.19 |
2. 후시딘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