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전문약

뇨붕중에 다이크로짇을 쓰는이유

큰마음약국 2017. 12. 8. 02:49

 

 

 ADH (vasopressin) 에 관계된 병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ADH: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펩티드호르몬으로 배설기관계의 수분 재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오줌의 배설량을 줄이는,

        즉 항이뇨작용을 하는 호르몬 ,바소프레신


 

 ●ADH 작용이 부족해서 오는 뇨붕증(소변증가. 고나트륨혈증) 

  : 바소프레신이 물을 재흡수 못하니 소변으로 물이 많이 빠져나감 , 혈중에는 물이 부족하니 고나트륨혈증이 옴


● ADH 작용이 너무 강해서 오는  SIADH (소변감소. 저트륨혈증)

  : 바소프레신이 물을 너무 재흡수 하니 소변으로 물이 안나가고 , 혈중에는 물이 많아지니 저나트륨혈증이 옴


뇨붕증은 크게 중추성과 신성으로 나뉜다.

 

중추성은 시상하부의 문제로 ADH가 분비안됨.==> 이때 쓰는 약물 :desmopressin

신성은 ADH가 아무리 분비되도 신장에서 작용못함 ==>이때 쓰는 약물 :diclozid

 

 

중추성 뇨붕증은  합성ADH (Desmopressin) 투여하면 되는데

신성 뇨붕증 은 신장에서 ADH를 인식못하니 투여해도 소용없다.

뇨붕증은 신장의 집합관에서. H2O 만 빠져나가니 고나트륨혈증이 되고 갈증이 엄청심해서 물을 엄청마시고. 다시 물만 빠져나가는 악순환.

 

다이크로짓은~~!!

집합관전의 세뇨관에서 Na 과 물의 배출을 증가시키니

처음은 소변마렵더라도 결국 갈증 감소와 수분섭취감소

 

즉~~!!

좋은 방법은 아니나 신성뇨붕증의 괴로운증상인 엄청난 다뇨와 갈증. 수분 섭취과잉의 악순환을 제어할 거의 유일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