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전문약

위장관 운동 촉진제 < 가나칸 (구)가나톤 >

큰마음약국 2015. 6. 19. 17:07



안녕하세요~~

이약사 여요~~^^



오늘은 위장관운동 촉진제 가나칸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가나칸은 <이토프라이드 itopride> 라는 성분인데요,

성분은 같고 이름은 다른 약이 엄청많아요,


이지스정,네오피드정,이토프란정,이토판정,가프리드정,이토벨정,모가톤정,가나릴정,가나메드정,

국제이토라이드정,가나프리드정,가니토정,가스트론정,가토젠정,가토프정,가프라톤정,부광이토프리드정,

넥스토정,다라톤정,마더스염산이토프리드정,이토리드정,이토리톤정,이토메드정,알보젠이토라드정,

이토라제정,이지톤정,이토나정,이토존정,이토드정,이토디알정,위나톤정,유라이드정,유바톤정,

이토프라정,이토정,이토프정,이토피드정, 이트리드정, 이티브정,이프라이드정,이프리드정,

토이드정,토프리드정,푸리드정, 프리가톤정,프리스톤정



여러분들 혹시 도파민 이라고  들어보셨어요?


이토프리드는 도파민수용체 차단제랍니다.


도파민은 호르몬이기도 하고 신경전달물질이기도 해요,


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흘러다니고요,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에서 터져나오는것이라서  약간 다르죠,


그러나 그게 그거여요,,


버스를 타고 가냐 비행기를 타고 가냐

목포로 가냐 서울로 가냐  뭐 그런차이라고나 할까?


도파민이 도파민이쥬,,ㅎㅎ



도파민이 특별히  많은곳은

뇌와 위장관이래요,,


뇌에 있는 도파민 양이나

위장관에 있는 도파민 양이나 거의 같다고 해서 깜짝 놀랐어요,


뇌에 있는 도파민은 중뇌에서 만들어지고요

장신경계에서도 도파민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그런데요~~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은 너무 많아도 너무 적어도 문제가 생기거든요,


장관내에서 도파민과 아세틸콜린은 서로 길항작용을해요,


( 도파민이 많아지면 아세틸콜린이 적어지고

  도파민이 적어지면 아세틸콜린이 많아지고 )


위장관이 수축하려면 결국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많아져야 하는데요,

그것을 이용한 약이 바로 가나칸,이토프리드랍니다.



도파민수용체를 차단하면

도파민이 적게 나오겠죠??


그럼 상대적으로 아세틸콜린이 많이 나와요,

또한 이토프리드는 신기하게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 )도 억제 한데요,


이래저래 장관내에 아세틸콜린이 많아지게 하는 약이랍니다.


아세틸콜린이 많아지면

장관운동이 촉진되어서 장관이 막 움직이게 되는거죠,,


그래서 소화도 되고 구토나 구역도 없어지게 되는 원리랍니다.


그런데 ~~~!!!


아세틸콜린은 우리몸에 곳곳에서 나오는 신경물질이라서 

부작용도 광범위하게 나타날수 있어요,


아세틸콜린이 과해지면 ~~~



혈압저하, 호흡곤란, 후두부종, 두드러기, 창백, 발한, AST·ALT·γ-GTP 상승 등을 수반하는 간기능장애, 황달, 구역, 설사, 변비, 복통, 타액증가, 두통, 초조감, 수면장애, 어지러움증, prolactin 상승, 혈소판감소 (빈도불명), 백혈구 감소, BUN·크레아티닌 상승,진, 발적, 소양감, 흉배부통, 피로감, 진전



물론~~!!


일시적으로 한두번 먹는다고해서 부작용이 나타나지는 않을거여요,

문제는 남용이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일년 열두달 내과약을 드시는 분들이 걱정인거죠,

내과 단골 손님들요,,,,,


그래서 이런 위장약을 오래 먹다보면 피부질환이 생겨서 고생하는 사람들을 만나기도 해요,

그럴때는 위장약을 바꿔야 되는데 오히려 피부약이 하나 추가되는게 현대 의학이죠,,

그게 너무 안타까워요ㅠㅠ


아셨죠??


약은 몸이 치유능력을 상실했을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라는 것을 절대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