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과 실습생
이시윤
안녕하세요. 실습생 이시윤입니다. 잘 지내셨나요?
지난번 렙틴과 식욕에 대해서 말씀 드렸는데요!
blog.daum.net/liji79/16505088?category=2118257
렙틴은 어떻게 식욕을 억제할까요?
약학과 실습생 이시윤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살을 빼기 위한 식이요법에 대해서 말씀드렸죠. 식사와 관련해서 인슐린, 렙틴 등 여러가지 호르몬이 나오고 식욕조절에도 관련이 되
blog.daum.net
오늘은 인슐린 저항성과 렙틴 저항성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어렵지만, 잘 따라오세요! 고고~~~
다음은 뇌에서 인슐린 신호가 왔을때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인슐린이 수용체에 붙으면 일련의 과정을 거쳐 IRS단백질이 인산화됩니다. 그리고 두 가지 다른 경로가 생기게 되는데 PI3 kinase가 생성되는 경로와 MAP 키나아제 경로가 생기게 됩니다.
PI3 kinase가 생기는 경로는 AKT라는 물질을 활성화하여 글리코겐 합성, 포도당 생성 억제 등 신호가 가게 됩니다.
이게 우리가 알고 있는 인슐린의 역할이죠?
이 두 경로 이야기는 조금있다 설명하게 되니 기억해두세요!
다음은 POMC 세포에서의 렙틴과 인슐린 신호전달을 함께 그린 그림입니다.
지난시간 보았던 렙틴 그림과 비슷하죠?
간단히 다시 말씀드리면, 렙틴이 붙으면 STAT3가 생성되어 POMC와 SOCS3가 나타나는데, POMC는 다른 뉴런으로 가서 식욕억제를 , SOCS3는 렙틴신호를 막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림에서 보니 놀랍게도 SOCS3가 인슐린 신호전달도 막는 역할을 하네요.
그리고 인슐린에서 나온 신호전달이 POMC를 발현시키는데에도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네요!
그래서 인슐린이 증가되면 식욕이 억제되는 역할도 같이 하게 됩니다.
음식물을 먹고 저장할 음식이 많이 생겼으니 이제 그만먹어도 된다는 신호를 보내는 거겠죠?
그러면 인슐린이 너무 많아지면 식욕은 어떻게 될까요?
그 기전을 설명하기 앞서 시상하부의 다른 부분을 알아야 합니다! 저번 게시글에서 시상하부는 궁상핵(arcuate nuclues,ARC))와 뇌실방핵(paraventricular necleus,PVN)부분이 있다고 했는데, 시상하부 북내측핵(ventromedial hypothalamus, VMH) 또한 있답니다. 이 부위도 식욕조절에 중요한 부위에요.
이제 시상하부 북내측핵(VMH)에 대해서도 알았으니 다음 그림이 이해가 잘 될 거에요.
보통 마른 쥐를 대상으로 실험했을때, 인슐린이 시상하부 북내측핵(VMH)에 있는 뉴런에 들어갔을 때 궁상체핵(ARC)에 있는 POMC 발현 뉴런을 자극시키고 인슐린이 들어가는걸 도와주게 되어 뇌실방핵(PVN)에 있는 melanocortin 발현뉴런에 자극을 주어 식욕이 억제되고 에너지대사가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비만쥐나 고지방 식이를 한 경우 VMH에 있는 뉴런은 신호가 잘 발현되지만 그 다음 ARC에 있는 뉴런에 인슐린이 잘 들어가지 않게 됩니다. 또한 고지방 식이에 노출되면 뉴런 활동이 손상되고 POMC 표적 뉴런 활동이 손상된다고 합니다. 당연한 수순으로 PVN의 뉴런에 자극이 안되고, 식욕이 억제가 안되겠죠.
또한 이 그림을 보았을때도 렙틴이 너무 많으면 생기면 SOCS3 신호도 많이 나오게 되어 렙틴 저항성이 생기지만, 이 SOCS3가 인슐린에도 영향을 미쳐 인슐린 저항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겠죠.
또한 이 루뜨르 보았을때, 비만쥐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PI3 kinase 경로에는 영향을 미치는데 MAP kinase 경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다는 선택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험 결과도 있답니다.
이렇듯 렙틴과 인슐린은 서로 관련이 많고 서로 저항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저번시간부터 정말 어려운 주제였는데요, 모두모두 잘 따라와주어서 고맙습니다!
이 모든 이론들의 정확한 기전은 다 알려져 있지 않고 아직 추가 연구중이지만
이정도 수준이라도 우리가 렙틴과 인슐린, 식욕, 우리몸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시간에 또 뵈어요~!!
<출저>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50413112002811
https://www.cell.com/cell-metabolism/comments/S1550-4131(12)00281-1
https://www.jneurosci.org/content/29/37/1158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440019/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50413112002811
<실습생블로그>
'약국 > 약국실습학생들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슐린이 막는 FOXO1 ! 넌 뭐니? (0) | 2021.04.27 |
---|---|
렙틴저항성이란???? (0) | 2021.04.27 |
주체할 수 없는 식탐 때문에 매번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당신!!!! 이 두 호르몬 때문입니다!!! (0) | 2021.04.21 |
렙틴은 어떻게 식욕을 억제할까요? (0) | 2021.04.20 |
스트레스를 먹는 것으로 푸는 당신!!! 당신은 이 호르몬의 노예입니다!!! (0)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