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다선생님들~ 조이뚜이입니다 ^^
※원광대학교 약학과
실습생 최수희
제가 실습하는 새천년건강한약국는 근처에 산부인과, 소아과, 치과를 두고 있는데요~
그래서 간혹 볼 수 있었던 응급피임약인 '엘라원'에 대한 정보를 공부해보려 해요~
피임약은 경구피임약(사전피임약)과 응급피임약(사후피임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사전과 사후의 차이라면 아~ 일이 터지기 전에 미리, 일이 터지고 나서 수습! 이란 차이를 알 수 있겠네요
(둘 사이의 차이는 약모저모에서 자세히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엘라원'이 어떤 응급피임약인지, 응급피임약을 어떻게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엘라원은 어떤 성분의 응급피임약인가요?
응급피임약(사후피임약)은 성관계 후 응급으로 복용하여 인위적으로 임신 가능성을 낮추는 약이에요.
응급피임약의 성분은 크게 프로게스틴(황체호르몬)과 울리프리스탈(호르몬 수용체에 붙어서 작용하는 물질, 비호
르몬)으로 나눌 수 있어요.
한번 비교해볼까요??
응급피임약으로 피임효과를 보려면 난자가 배란되기 전에, 늦어도 수정란이 착상하기 전에 복용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표였습니다.
일반적인 응급피임약은 관계 후 72시간 이내 복용해야 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피임효과가 쭉쭉 떨어져요.. ㅠㅠ
일단 엘라원은 최대 120시간까지 응급피임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니까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신 후에 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
응급피임약의 부작용
응급피임약은 신체에 급격한 변화를 주어 임신 가능성을 낮추는 약물인데,,,,
그러면 부작용도 그만큼 높다는 얘기가 되겠죠? ㅠㅠ
응급피임약의 주요 부작용에는 어지러움, 두통, 현기증, 구역, 복통 등이 있어요. 엘라원의 흔한 부작용(사용자의 10%이상에서 보고)으로는 무월경, 자궁내막 비후 등이 있는데, 이러한 부작용 증상들은 대개 복용 초기에 호르몬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대개 24시간 내에 또는 길어도 일주일, 2~3개월 이내에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구토나 발진, 두통 등이 너무 심할 경우엔 전문의와 상담하여 다른 피임약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피임약의 오해와 진실
1. 어제 응급피임약 먹고 오늘 또 피임 없이 성관계를 했는데 어제 먹은 약으로 오늘 관계까지 피임이 될까요..?
X입니다.
응급피임약은 복용 직전에 있던 '임신 가능성'만을 차단합니다. 이후 새로운 임신 가능성까지 예방할 수 없기 때문에 복용 후에는 콘돔, 살정제, 자궁 내 피임장치 같은 국소 피임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응급피임약을 먹고 나서 며칠 뒤에 출혈이 나왔어요... 착상 출혈일까요..?
X입니다.
사후피임약을 복용하고 나면 배란일이 지연된다고 했는데요. 사용 기한을 지켜서 복용하셨다면 1주일 정도 후에 소퇴성출혈이라고 황체호르몬 수치가 낮아지면서 자궁내막이 떨어져 나오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오히려 출혈이 안 나오는 경우를 의심해보셔야 한다고 조심스럽게 말씀드릴게요)
그러니 임신이 아닌 경우 1~2주 후에 소퇴성출혈을 하거나 생리 예정일에 생리가 정상적으로 나온 것일 수 있는 것이죠.
간혹 사후피임약 복용직후나 다음날부터 피가 소량씩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사후피임약의 부작용으로 나오는 부정출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사후피임약이 몸에 많이 안 좋다고 들어서 먹기 무서워요 ..
일반적으로 건강한 여성이라면 응급피임약은 그렇게 무서운 약이 아니에요. 부작용이 전혀 없지 않지만 오심, 구토, 두통,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은 24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사라집니다.
하지만!! 필요할 때마다 먹는 약은 아닙니다. 응급피임약은 반복 사용할수록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응급상황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응급피임약을 먹고 구토가 너무 와서 다 토한 거 같은데 피임효과가 있을까요..?
△입니다.
약을 복용한지 2~3시간 이내 구토를 하셨다면 응급피임약의 흡수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확실한 피임효과를 위해 즉시 한 알을 더 복용할 것을 권유합니다.
응급피임약은 전문의약품으로 병원에 가서 처방을 받아야 해요. 꼭 산부인과에서만 처방받을 수 있는 약은 아니지만, 여성의 몸 상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산부인과에서 처방받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가정의학과, 내과, 이비인후과 등에 내원하셔서 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조금 무거운 주제로 공부를 해보았는데요.
피임을 운명에 맡기지 마세요.
원치않는 임신으로 가장 큰 아픔을 겪은 사람은 자신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글 마무리하겠습니다
본 포스팅 글은 안전한 피임약 사용을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전문의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글원문보기 조이뚜이의 바다약국
'약국 > 약국실습학생들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릴오일 참말로 오메가3보다 더 좋은가요~? (0) | 2019.08.02 |
---|---|
비충혈제거제(코막힘 치료제) - 오트리빈, 화이투벤 (0) | 2019.08.01 |
비염 치료제 (0) | 2019.07.31 |
아픔은 후~ 통증은 딱~ 없애주는 진통제가 있다?(펜잘큐) (0) | 2019.07.31 |
액상 감기약 (판피린, 판콜)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