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익산 새천년건강한약국에서 실습하는 원광대학교 약학과 실습생 최제일입니다.
산화질소가 체내에서 일으키는 효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심혈관계에서 보이는 효능을 살펴보겠습니다.
- 혈압 감소
: 혈압은 혈액이 혈관을 누르는 힘으로 측정하는데, 혈관내부는 평활근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평활근이 수축되면 혈액이 흐르는 통로 직경이 줄어들어 혈관벽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면 혈압이 증가합니다. 산화질소는 혈관평활근을 이완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혈액이 흐르는 통로 혈압을 감소시켜 줍니다.
- 협심증 통증 감소
: 협심증은 심장의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나 혈전 등으로 인해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생기는 병입니다. 산화질소가 관상동맥의 혈관평활근을 이완시켜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협심증을 완화하고 통증을 줄여줍니다.
- 혈소판 응집 및 혈전 억제
: 혈관에서 혈관내피가 손상되거나 염증이 일어나면 혈소판이 응집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정상적인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가 치유되면 자연스레 사라지지만 응고가 과다하게 일어나는 등의 이상현상이 일어나면 혈전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혈전은 혈액을 타고 돌아다니다가 좁은 혈관을 막아 혈류를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심장의 관상동맥에 혈전이 생기면 심근경색, 협심증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산화질소는 혈관평활근에서 cGMP를 생성시키는데, cGMP는 혈소판 응집에 관여하여 혈관벽을 수축하는 트롬복산A2(TXA2)를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산화질소는 비정상적으로 혈소판이 응집되는 것을 막고 TXA2를 저해하여 혈관평활근 수축을 막아 혈전 생성을 억제하고 심근경색 및 협심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산화질소가 체내에서 심혈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