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약국실습학생들의 글

포리부틴 드라이시럽

큰마음약국 2019. 7. 3. 14:08

※작성자/ 원광대학교 약학과

실습생 신재민


안녕하세요 예비약사 잼돌이입니다.

오늘은 전문의약품인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은 약간 쓰면서 달콜한 맛이 있는 흰색 내지 연한 노란색의 가루약 입니다.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의 유효성분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의 유효성분은 트리메부틴(trimebutine)입니다.

 

 

         <트리메부틴 화학구조>

트리메부틴 성분이 위장관 운동을 조절하여, 소화기능 이상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위장관 질환을 치료합니다.

 

 

 

여기서 트리메부틴의 작용기전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트리메부틴은 엔카팔케린 유사체로, 위장관 내부 신경층에 존재하는 엔케팔린(enkephaline) 수용체에 작용해 위장관 운동을 조절합니다.

 

엔케팔린(enkephaline)이라는 용어 생소하실텐데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엔카팔린은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 입니다. 엔케팔린이 뇌와 뇌하수체에 작용할때는 고통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고, 위장관에서는 위장관의 운동을 조절 해주는 역할을합니다.

엔케팔린의 수용체는 μ(뮤), κ(카파), δ(델타) 수용체가 있으며, 트리메부틴은 필요에 따라 이 세 가지 수용체에 다르게 결합니다.

 

그럼 트리메부틴이 어떻게 위장관에 작용하는지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스트레스나 음식 등으로 인해 엔케팔린이 비정상적으로 분비가 되면 위장관 운동이 평소보다 촉진되거나 감소하게되어 소화이상 및 변비,설사가 발생하게 됩니다.

 

 

                        < 위장관내 엔케팔린 수용체, 출처:한국의약통신>

 

위장관이 운동이 과하게 촉진된 경우는 엔케팔린 신경전달 물질이 μ(뮤), κ(카파), δ(델타) 수용체 중 μ(뮤), δ(델타) 수용체에만 과하게 결합 되어 있고 κ(카파) 수용체는 결합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트리메부틴은 비어 있는 κ(카파) 수용체와 결합하여 위장관 운동을 억제시켜 과하게 촉진된 위장관 운동을 억제시켜 줍니다. .

②반면 위장관이 운동이 저하된 경우에는 트리메부틴이 비어 있는 μ(뮤), δ(델타) 수용체에 결합하여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킵니다.

이렇게 엔케팔린은 위장관 운동을 촉진 또는 억제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만들어 주어 소화 이상 및 변비,설사 증상을 치료해 줍니다.

 

추가적으로 포리부틴 드라이시럽(트리메부틴) 처럼 엔케팔린을 이용한 하이드라섹산 비교해볼게요~!!

하이드라섹산 enkephalinase inhibitor로서, 엔케팔린 분해제를 억제함으로서 우리 몸의 존재하고 있는 엔케팔린 수를 늘리게 됩니다. 하이드라섹산은 특히 소장 막에 있는 엔케팔린 분해제를 억제함니다.

소장에서 증가된 엔케팔린은 소장에서 물과 전해질이 빠져나게 막아 줄 수 있어 설사 치료에 사용됩니다.

※ 하이드라섹산을 더 알고 싶으시면 http://blog.daum.net/liji79/16503877 여기로 ~!!

 

 

 

하이드라섹산이 체내 엔케팔린이 분해되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면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엔케팔린 유사체로서, 즉 우리 몸에서 엔케팔린이 하는 역할을 합니다.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은 대장과 소장에서 모두 작용하나 대장에서 작용을 더 많이 한다고 합니다.

 대장 운동이 저하되었을 때는 μ(뮤)와 δ(델타) 수용체에 결합하여서 대장운동을 항진시키고, 대장 운동이 증가되었을 경우 κ(카파)수용체에 결합하여서 대장운동을 억제시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장의 비정상적인 운동을 조절해 설사치료에 사용할 수있습니다.

설사 증상이 심할 경우 하이드라섹산과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이 같이 처방되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둘다 엔케팔린을 사용해서 걱정될 수 있지만 하이드라섹산소장에서 주로 작용하고,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은 주로 대장에서 작용함으로 작용기전과 작용하는 부위가 다르므로 걱정하지 않고 같이 복용 하셔도 됩니다.~!!

 

 

포리부틴 드라이시럽의 효능,효과

① 식도역류 및 열공헤르니아, 위.십이지장염, 위,십이지장궤양에 있어서의 소화기능 이상(복통, 소화불량, 구역, 구토)

② 과민성 대장증후군 및 경련성 결장

③ 소아 질환: 습관성 구토, 변비, 설사

 

 

포리부틴 드라이시럽 용법 및 용량

※ 제약회사 권고 용량

① 성인 용량 : 1회 100~200mg 1일 3회 경구 투여

② 소아 용량 :

(1) 6개월 미만: 1회 2.5ml (12 mg) 1일 2-3회

(2) 6개월 - 1세 미만: 1회 5ml (24 mg) 1일 2회

(3) 1세 - 5세 미만: 1회 5ml (24mg) 1일 3회

(4) 5세 이상: 1회 10ml(48 mg) 1일 3회 식전에 경구 투여

 

 

포리부틴 드라이시럽 복약 방법 안내

사용 전 잘 흔들어 주세요~!

투약병의 눈금을 잘 보고 처방 받은 1회 용량을 맞춰서 드세요~!

 

발생할 수 있는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의 부작용

1) 소화기계 : 드물게 변비, 설사, 복명, 구역, 구토, 소화장애, 구갈, 구내마비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순환기계 : 드물게 심계항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정신신경계 : 드물게 피로감, 졸음, 현기, 권태감, 두통 등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4) 간장 : 드물게 GOT, GPT상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과민증 : 드물게 발진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이에 해당하는 증상이 발생할 경우 복용을 중지하시고 의사, 약사와 상담하세요~!!

 

 

오늘은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럼 다음시간에 만나요.

 

 

 

글 원본 클릭! 잼돌이의 약한 블로그

https://blog.naver.com/totorosp/221575928435